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트렌드 코리아 - (10)원포인트업(One-Point Up)

by its_good 2025. 4. 7.

원포인트업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 소개된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원포인트업(One-Point Up)’은

복잡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한 가지 요소만 똑똑하게 개선하거나 보완함으로써

전체 인상을 상승시키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 ‘원포인트업(One-Point Up)’이란?

**‘One Point Up’**은 전체를 바꾸지 않고도 작은 변화 하나로 전체 가치나 만족도를 높이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전부를 바꾸지 않고 한 포인트만 건드려도 사람들의 반응과 인식이 달라진다”는 소비 전략이자 설계 철학이죠.

이는 과잉 경쟁·물가 상승·정보 과부하 속에서 ‘효율적인 변화’만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와 기업의 사고방식을 반영합니다.


 

🔍 왜 이 키워드가 주목받을까?

✅ 1. 합리적 소비의 강화

  • 소비자는 큰돈을 들이기보다 작은 비용으로 만족감을 얻는 소비 방식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 2. 물가 상승과 리스크 회피

  • 자원의 한계, 고물가 시대에 전면 개선보다 ‘선택과 집중’이 현실적인 전략이 되었어요.

✅ 3. 심리적 전환의 시대

  • 아주 사소한 변화 하나로도 심리적 리프레시 효과가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조금의 변화”에 반응합니다.

 

💡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나?

영역원포인트 변화 예시
패션 신발 끈만 바꾸기, 가방에 뱃지 하나 추가, 아우터에 키링 포인트
인테리어 조명 하나만 바꿔서 공간 분위기 전환, 쿠션 커버 교체로 거실 분위기 ‘업’
푸드 라면에 고추기름 한 방울, 아이스크림에 시리얼 토핑, 샐러드에 치즈 추가
뷰티 평소 메이크업에 립 컬러만 바꾸기, 한 가지 악세사리로 포인트 주기
콘텐츠 유튜브 썸네일, 제목, 첫 3초 도입부만 리디자인해 클릭률 상승

 

🧠 심리학적으로 본 ‘원포인트업’

  • 인간은 전체를 바꾸는 것보다 ‘작은 변화를 통해 긍정적 피드백’을 받는 구조에 더 만족감을 느낍니다.
  • ‘넛지 효과(Nudge Effect)’처럼 무의식 중에도 행동과 태도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 브랜드가 활용하는 방식

전략설명
마이크로 업그레이드 기존 제품에 기능 하나만 추가 → 예: 스마트폰 카메라 한 단계 업그레이드
리미티드 포인트 출시 전체 리뉴얼이 아닌 한정판 색상, 포장, 향 출시로 심리적 새로움 제공
맞춤형 옵션 제안 기본형 제품에 ‘포인트 옵션’ 제시 → 예: 차량 색상만 특별한 컬러 추가 등

 

✨ 대표 사례

✅ 1. CU 편의점 – 컵라면에 어묵 하나만 추가

  • 기존 컵라면에 어묵꼬치 하나만 얹은 구성으로 ‘감성 힐링’ 라면이 됨.
  • 전체는 그대로, 한 가지 변화만으로 만족도 상승.

✅ 2. 스타벅스 – 샷 추가, 시럽 변경 등 음료 커스터마이징

  • 음료의 기본은 유지하면서 휘핑, 샷, 시럽 하나만 바꿔도 완전히 다른 경험을 제공.
  • 소비자는 스스로 '나만의 조합'을 완성하는 즐거움을 느낍니다.

✅ 3. 무신사 스탠다드 – 시즌 한정 포인트 컬러 출시

  • 기본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특별 컬러 하나만으로 구매 욕구 자극.
  • 실용성과 감성적 만족을 동시에 잡은 전략.

✅ 4. 이케아 – 스탠드 조명 하나로 공간 분위기 전환

  • 소파, 테이블은 그대로 두고 조명 하나만 바꾸면 분위기 체감 변화 발생.
  • 인테리어 변화의 최소 투자, 최대 효과 실현.

✅ 5. 올리브영 – 립 컬러 하나로 메이크업 분위기 바꾸기

  • 똑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에 립 컬러만 달리해 전혀 다른 무드 완성.
  • 뷰티 콘텐츠에서도 ‘원포인트 변신’ 테마로 인기.

✅ 6. 카카오톡 프로필 BGM 설정

  • 프로필 전체를 바꾸지 않고도 음악 하나만 추가해 감정 전달, 자기 표현 가능.
  • 디지털 감성 표현의 미니멀한 방법으로 Z세대에 호응.

✅ 7. 택시 호출 앱 ‘우티’ – 포인트 알림음 설정

  • 기본 인터페이스는 동일하지만, 도착 알림음을 ‘내 스타일’로 설정 가능.
  • 작은 차이로 사용자 경험의 만족도 차별화.

✅ 8. 배달의민족 – 메인화면 일러스트/멘트 변경

  • 배민 앱의 귀여운 문구나 일러스트 하나 바뀌는 것만으로도 새로움과 친근감 부여.
  • UX에 감성적 한 포인트를 추가하는 효과.

✅ 9. 브랜드 제품에 한정판 패키지 도입

  • 기본 내용물은 동일하지만, 포장만 특별하게 구성 → 기분 전환과 구매욕 유도.
  • 예: 리유저블 텀블러, 한정판 박스 디자인, 계절 한정 라벨 등.

✅ 10. 모바일 게임 스킨 시스템

  • 게임 플레이 방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캐릭터 외형이나 효과만 부분 변경.
  • 유저가 단 하나의 포인트로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구조.

 

🎯 요약: 원포인트업의 특징

변화 영역원포인트 효과
음식 토핑 하나, 재료 하나로 다른 맛
패션 색상 하나, 디테일 하나로 전환
공간 조명, 액자 하나로 분위기 변화
콘텐츠 썸네일, 음악, 배경화면 하나로 차별화
디지털 서비스 인터페이스 작은 요소 변경으로 UX 향상

 

🎯 핵심 메시지

“전체를 바꾸지 않아도, 단 하나의 변화로 인식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원포인트업’은 소비자와 브랜드 모두에게 효율성과 감성, 그리고 실용성까지 동시에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크게 바꾸지 않아도, 작게 바꾸면 충분한 시대 — 바로 그것이 2025년을 관통하는 실용적 혁신의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