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트렌드 코리아 - (9)공진화전략(Strategy of Coevolution)

by its_good 2025. 4. 7.

공진화전략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 제시한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공진화전략(Strategy of Coevolution)’은

기업과 소비자, 기술과 사람, 브랜드와 사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하는 전략적 관계 형성을 의미합니다.

 

 

🔁 ‘공진화전략’이란?

‘공진화(Coevolution)’는 생물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두 생명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2025 트렌드로 확장해 보면,

기업이 시장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시장도 기업을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적 진화”라고 정의할 수 있어요.

즉, ‘일방적 영향’이 아닌 ‘상호 적응’, 그리고 **‘공감 기반의 공동 성장’**이 핵심입니다.


 

📌 왜 ‘공진화’가 중요한가요?

✅ 1. 변화가 너무 빠른 시대

  • 기술, 소비자 취향, 사회 규범, 윤리적 기준 등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서 기업이 혼자서 예측하고 리드하기 어렵습니다.
  • 이제는 고객, 사회, 기술과 함께 움직이고, 실시간으로 적응하는 전략이 필요해졌죠.

✅ 2. ‘고객 참여’가 브랜드 경쟁력이 되는 시대

  • 과거에는 고객이 단순한 소비자였다면, 지금은 **브랜드의 공동 제작자(Co-Creator)**가 됩니다.
  • 고객의 피드백, 참여, 창작이 브랜드 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 3. AI, 데이터, 커뮤니티 중심의 관계 진화

  • 기술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며 상호작용하는 방향으로 발전 중입니다.
  • 브랜드도 단순한 제품 판매자가 아닌, 소비자의 일상을 함께 설계하는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 공진화전략의 핵심 구성 요소

전략 영역설명
소비자 참여 고객 리뷰, 설문, 투표, 해시태그 등을 통한 상품 기획 참여 유도
공감 기반 피드백 시스템 브랜드가 고객 피드백을 듣고 실시간으로 제품/서비스 개선에 반영
테크-인간 공진화 AI가 도와주되, 사람 중심의 설계. 예: 챗봇이 고객 감정도 고려하는 방식
브랜드 커뮤니티 형성 브랜드 팬들이 서로 교류하며 함께 진화. 예: 무신사 커뮤니티, 마케팅톡 카카오톡 채널 등
사회/환경 감수성 연계 사회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며 브랜드가 성장 (ESG 기반 공진화)

 

🌐 실제 사례로 보는 ‘공진화 전략’

✅ 1. 나이키 ‘Nike By You’ – 소비자 맞춤 디자인

  • 소비자가 자신만의 컬러, 재질, 문구로 운동화를 디자인하는 시스템.
  • 소비자 참여가 제품 설계에 반영되며, 브랜드가 개인화된 방향으로 진화.

✅ 2. 배달의민족 ‘배민문방구’ – 유저 감성 반영 굿즈

  • 사용자 리뷰, 트렌디한 키워드 등을 반영해 만든 문구·스티커 상품.
  • 고객의 언어와 감성을 브랜드 굿즈로 구현해 팬과 브랜드가 공동 창작하는 구조.

✅ 3. 무신사 브랜드 개발 – 고객 반응 기반 기획

  • 플랫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키워드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자체 브랜드 런칭.
  • 예: 무신사 스탠다드, 디스이즈네버댓 등은 사용자 커뮤니티 피드백에 기반.

✅ 4. 넷플릭스 – 시청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

  • 사용자 시청 기록을 분석해 오리지널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예: 『하우스 오브 카드』, 『브리저튼』 등은 시청자의 취향 데이터를 콘텐츠 진화에 반영한 결과물.

✅ 5. 삼성전자 ‘멤버스 커뮤니티’ – 제품 개선 피드백

  • 삼성전자 사용자 커뮤니티에서 소비자의 리뷰와 피드백을 실시간 수집하여 펌웨어 개선 및 UI 개선에 활용.
  • 고객의 목소리를 실질적인 제품 개선에 반영.

✅ 6. 카카오톡 이모티콘 – 유저 반응 기반 디자인 반복

  • 유저 피드백과 사용 패턴을 분석해 더 자주 쓰이는 감정,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을 개발.
  • 작가와 사용자 간의 소통도 활발히 이루어지며 공진화 콘텐츠 생태계를 형성.

✅ 7. 쿠팡의 AI 상품 추천 – 실시간 진화

  • 고객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시스템.
  • 고객이 반응할수록 알고리즘도 진화 → 플랫폼과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며 성장.

✅ 8. 아모레퍼시픽 ‘레시피 유어 셀프’ – 소비자 맞춤 뷰티

  • 피부 타입, 취향, 라이프스타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퍼스널 맞춤형 화장품 제작 서비스.
  •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가 제품 라인업을 유연하게 조정.

✅ 9. 하이브(HYBE)의 팬 참여형 아티스트 운영

  • 위버스(Weverse) 플랫폼을 통해 팬이 아티스트의 활동 방향이나 콘텐츠에 실질적으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
  • 팬덤과 아티스트, 기획사가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 모델.

✅ 10. 이니스프리 ‘공병 캠페인’ – 환경과 고객의 공진화

  • 고객이 다 쓴 화장품 공병을 반납하면 리워드를 제공 →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강화.
  • 소비자와 함께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며, 브랜드 가치와 윤리적 행동이 함께 진화.

 

🔍 공진화 전략이 가져오는 변화

구분                                                  과거                                                      공진화 시대

 

브랜드 중심 "우리가 만든 걸 소비자가 선택" "소비자가 함께 만들고 브랜드가 반응"
제품 개발 연 1~2회 정기 출시 실시간 반응 기반 민첩한 업데이트
마케팅 일방향 메시지 전달 상호 대화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고객의 역할 구매자 기획자, 공동 제작자, 홍보자

 

 

🎯 핵심 메시지

“이제 브랜드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고객, 사회, 기술과 함께 변화하며 살아남는 것이 진짜 전략이다.”

공진화전략은 공감·참여·실시간 변화가 핵심입니다.
2025년에는 단단하게 홀로 서 있는 브랜드보다,
유연하게 타인과 맞물려 진화하는 브랜드가 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